
/사진=무하유
자연어를 이해하는 실용 AI 기업 무하유의 AI 면접 서비스 '몬스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주관하는 AI 신뢰성 검·인증(CAT, Certification of AI Trustworthiness) 1.0을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CAT 인증은 국내 기업의 AI 신뢰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 시스템의 위험관리 체계, 기술 거버넌스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고 평가하는 제도다.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안전성, 보안성 및 회복탄력성, 설명가능성 및 예측가능성, 편향 및 공정성, 책무성 및 투명성, 안정성 및 견고성 총 6가지 신뢰속성에 대한 평가와 검증을 거쳐 심사기준을 모두 통과해야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몬스터는 국내 최초의 대화형 AI 면접 서비스다. 면접 태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뿐만 아니라 지원자의 답변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직무 적합도와 조직 적합도를 평가하고, 평가자의 결정을 지원한다.
지원자의 답변을 바탕으로 사람이 진행하는 것처럼 매끄럽게 꼬리질문을 할 수 있다. 공통 문항 설정은 물론, 자기소개서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면접 질문 생성이 가능하다. 특히 지원자의 AI 면접 답변을 분석해 구체적인 경험 사례를 바탕으로 역량을 검증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형 질문을 추가 생성한다.
한편 무하유는 몬스터와 더불어 AI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도 제공하고 있다. 프리즘은 자기소개서 내용을 분석해 지원자의 직무 적합도와 기업 적합도를 파악해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지원한다.
매년 120만 건 이상의 자기소개서를 분석하며, 자기소개서의 구조적 결함과 내용 평가를 통해 지원자의 적합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현재 스타트업부터 금융권, 대기업까지 약 700여개의 기업에서 프리즘 및 몬스터를 통해 채용을 효율화하고 있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AI 신뢰성이 특히 중요한 채용 분야에서 CAT 인증을 통해 몬스터의 설명 가능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매우 뜻 깊다"며 "앞으로도 AI 신뢰성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지속적으로 준수함으로써 기업 고객 및 구직자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채용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무하유는 2011년 표절 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내놓은 데 이어 채용 솔루션 ‘프리즘’, ‘몬스터’, ‘CK PASS’, ‘GPT킬러’를 제공하는 등 학문적 성과를 위한 인공지능(AI)이 아닌 실제 업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자연어 기반 실용AI 기술 기업이다.
대표 서비스 ‘카피킬러’는 표절, 출처 미표기, 중복 게재 등 사람이 하나하나 파악하기 힘든 검토 작업을 AI 기술을 이용해 빠르게 할 수 있는 표절 검사 서비스다.
2023년 11월 프리 IPO 투자 라운드에서 150억원을 유치했으며, 이를 계기로 오는 2026년 코스닥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사 원본 보러 가기
/사진=무하유
자연어를 이해하는 실용 AI 기업 무하유의 AI 면접 서비스 '몬스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주관하는 AI 신뢰성 검·인증(CAT, Certification of AI Trustworthiness) 1.0을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CAT 인증은 국내 기업의 AI 신뢰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 시스템의 위험관리 체계, 기술 거버넌스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고 평가하는 제도다.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안전성, 보안성 및 회복탄력성, 설명가능성 및 예측가능성, 편향 및 공정성, 책무성 및 투명성, 안정성 및 견고성 총 6가지 신뢰속성에 대한 평가와 검증을 거쳐 심사기준을 모두 통과해야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몬스터는 국내 최초의 대화형 AI 면접 서비스다. 면접 태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뿐만 아니라 지원자의 답변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직무 적합도와 조직 적합도를 평가하고, 평가자의 결정을 지원한다.
지원자의 답변을 바탕으로 사람이 진행하는 것처럼 매끄럽게 꼬리질문을 할 수 있다. 공통 문항 설정은 물론, 자기소개서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면접 질문 생성이 가능하다. 특히 지원자의 AI 면접 답변을 분석해 구체적인 경험 사례를 바탕으로 역량을 검증할 수 있는 개인별 맞춤형 질문을 추가 생성한다.
한편 무하유는 몬스터와 더불어 AI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도 제공하고 있다. 프리즘은 자기소개서 내용을 분석해 지원자의 직무 적합도와 기업 적합도를 파악해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지원한다.
매년 120만 건 이상의 자기소개서를 분석하며, 자기소개서의 구조적 결함과 내용 평가를 통해 지원자의 적합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현재 스타트업부터 금융권, 대기업까지 약 700여개의 기업에서 프리즘 및 몬스터를 통해 채용을 효율화하고 있다.
무하유 신동호 대표는 "AI 신뢰성이 특히 중요한 채용 분야에서 CAT 인증을 통해 몬스터의 설명 가능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매우 뜻 깊다"며 "앞으로도 AI 신뢰성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지속적으로 준수함으로써 기업 고객 및 구직자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채용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무하유는 2011년 표절 검사 서비스 ‘카피킬러’를 내놓은 데 이어 채용 솔루션 ‘프리즘’, ‘몬스터’, ‘CK PASS’, ‘GPT킬러’를 제공하는 등 학문적 성과를 위한 인공지능(AI)이 아닌 실제 업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자연어 기반 실용AI 기술 기업이다.
대표 서비스 ‘카피킬러’는 표절, 출처 미표기, 중복 게재 등 사람이 하나하나 파악하기 힘든 검토 작업을 AI 기술을 이용해 빠르게 할 수 있는 표절 검사 서비스다.
2023년 11월 프리 IPO 투자 라운드에서 150억원을 유치했으며, 이를 계기로 오는 2026년 코스닥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사 원본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