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 학생 선발 평가, 온라인 면접으로 효율적으로 진행하세요.

2024-07-31


요즘은 AI 면접, 온라인 면접이 낯설지 않게 느껴지는 것 같은데요. 3년 전만 해도, AI 면접을 실시한다는 내용이 보이면 어떤 전형인지 찾아보고 수십 번씩 연습을 하던 것과 달리 이미 평가자도, 지원자도 AI 면접을 채용의 전형 중 하나도 받아들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채용 전형에서는 하나의 전형으로 자리 잡은 AI 면접, 채용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대학 입학 면접을 위한 AI 면접


코로나 시기 처음으로 AI 면접을 대입 전형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는데요. 대학에서 AI 면접 도입을 하게 된 이유는 다양한데요. 그중에서도 대표적으로 3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코로나로 인해 대면 면접 진행에 어려움이 있다 판단되는 경우
  2. 수험생과 대학 간의 거리가 멀어 수험생들이 지원을 하지 않는 경우
  3. 입학 전형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경우


처음에는 복합적인 이유로 도입했지만 도입 이후에도 실효성이 있다 판단되어서, 기존 대면 면접보다 효과적이라는 이유로 아직까지 사용하고 있는 것이죠.


대학 접근성 측면에서는, 응시자의 수를 늘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만약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 2곳, 3곳이 동일한 날에 논술을 치르거나, 면접을 보게 된다면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요. 이럴 경우 한 대학 외에 다른 대학은 지원 자체를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AI 면접으로 진행할 경우 근처 스터디 카페에 가는 등의 방식으로 응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날짜를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지원할 수 있죠.


또한 대면 면접 시 수험생이 나도 모르게 출신 학교나 지역, 부모님 직업을 말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AI 면접을 통해 응시하게 되면 이러한 내용을 학생이 말하더라도 블라인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 정보에 의해 편향된 평가를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학 장학생 선발을 위한 AI 면접


대학 내부적으로 장학생, 우수학생 선발을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대학생들은 각자의 시간표도 다르고 공강 시간에 아르바이트나 교외 활동 등 정해진 일정이 있기 때문에 모두가 만족할 만한 시간에 대면 면접을 진행하기 어려운데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교직원 입장에서도 모두를 고려해 시간을 정해서 진행하다 보면 면접 시간 조율에만 일주일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AI 면접을 활용하는 것이죠. 약 2일 ~ 3일 정도의 응시 기간을 열어두면 학생들은 본인이 가능한 시간, 편한 시간에 어디서든 응시하고 평가자는 응시가 완료되면 일괄적으로 확인을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전북대학교에서도 우수학생 기숙형 대학 (HRC) 프로그램 참여자를 선발하기 위해 AI 면접을 활용했습니다. 서류심사 합격자를 대상으로 역량검사와 AI 면접을 응시하게 해서 고득점자 순으로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 것인데요. 대학 외에도 교육기관에서 교육생 선발을 위해 도입하는 케이스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학생 서포터즈 선발을 위한 AI 면접


대학에서 장학생 선발을 위해 활용하는 것과 유사한 케이스인데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서포터즈를 모집하다 보니 면접 과정에서 일정 조율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군다나 대학보다 더 어려운 점이라면 장소죠. 서포터즈를 운영하는 기업은 서울 강남에 위치해있는데, 수원에서 대학을 다니거나, 인천에서 대학을 다니거나 비교적 거리가 먼 곳의 대학생들은 면접 당일 일정 조율의 어려움으로 면접을 보지 못해 탈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외에도 AI 면접은 일정 조율, 거리상의 문제가 있을 때 활용되고 있는데요. 당연히 사람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비효율적인 업무, 번거로운 업무, 몬스터를 통해 효율화에 성공해 보세요.



대입 면접 / 장학생 선발 / 서포터즈 선발을 위한 AI 면접이 필요하다면?

AI 면접 몬스터 자세히 보기


참고 자료 

> [전자신문] 무하유, 전북대에 역량검사·AI 면접 솔루션 '몬스터'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