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명, 200명 혹은 500명 규모의 기업에서도 채용 담당자는 1명뿐인 경우가 많습니다. 인사팀이 따로 있더라도, 노무나 급여 등 다들 다른 업무를 담당하고 결과적으로 채용은 혼자 진행하는 경우죠. 심지어 최근에 공채에서 수시채용으로 변경되는 트렌드에 따라, 채용 담당자는 1년 365일 채용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채용 업무로 바쁜 인사담당자를 도와줄 수 있는 채용 도우미 서비스 6가지를 소개 드리려고 합니다. 채용 진행 순서대로 각각의 서비스를 어떻게 쓸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1. 공고 올리기 & 인재 컨택하기
사람들이 우리 기업의 채용 소식을 알고 지원할 수 있도록 공고를 많이 올려야겠죠. 일반적으로 사람인과 잡코리아, 원티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취준생들도 공고를 보고 지원하기 위해 가장 많이 방문하는 사이트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이 세 사이트가 단순히 공고를 올리는 것 외에도 지원자를 추천해주기도 한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우리 기업의 공고를 보고 보유하고 있던 인재 pool에서 추천하기도 하는 것이죠. 공고를 올리고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지만, 보다 빠른 채용을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우리 기업에서 먼저 연락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추천 서비스: 사람인, 잡코리아, 원티드
2. 서류 평가
지원자의 서류가 들어오면 이후 다음 전형을 진행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서류 전형에서는 지원자가 제출한 서류를 기반으로 우리 기업에 적합한 인재인지, 채용하려는 직무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평가하는데요. 이때, 채용담당자가 임의로 서류를 보고 다음 전형으로 넘기는 경우도 있고, 실무자가 판단 후에 다음 전형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 케이스 모두 각각의 단점이 있기 때문에 채용 담당자분들의 고민이 많습니다. 채용 담당자가 보자니 직무 역량을 실무자 기준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실무자에 평가를 요청하자니 안 그래도 실무로 바쁜 실무자는 평가가 미뤄져 결과적으로 채용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죠.
그래서 많은 기업이 채용 담당자도, 실무자도 부담 없이 빠르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AI 서류 평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1건이든 100건이든 1,000건이든 실시간으로 평가가 가능하면서, 우리 기업의 인재상과 채용하려는 직무의 역량으로 커스터마이징된 AI로 평가하기 때문에 속도와 정확도 모두를 충족하기 때문이죠.
추천 서비스: 프리즘
3. 인적성검사
최근 채용담당자들의 신뢰도가 높아진 전형 중 하나입니다. 기존 채용 전형에서 인적성검사를 진행하지 않던 담당자 들도 도입하는 추세죠. 아무래도 면접은 지원자의 거짓/과장을 면접관이 잘 분별하는 것이 중요하고, 면접관이 지원자의 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좋은 질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잘 훈련된 면접관이 아니라면 면접 전형을 진행하더라도 인재를 놓치거나, 적절하지 않은 지원자가 합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적성검사는 이러한 지원자의 거짓/과장을 분별하기 위한 도구 중 하나인데요. 여러 문항을 통해 지원자의 내재된 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면접에서 추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이죠.
인적성검사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점 중 하나는 변별력이 있는 검사 인가입니다. 시중에 인적성검사 서비스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지원자의 왜곡 반응을 탐지하는 메커니즘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서비스: 몬스터
4. 평판조회
어느 정도 채용이 결정된 뒤, 지원자와 함께 근무했던 동료들의 평판을 확인할 차례입니다. 그렇다고 채용담당자가 이전 직장의 지인들을 하나하나 수소문해서 전화하고 확인하기에는 시간적 소요가 너무 크죠.
그래서 평판조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스펙터를 통해 주변 동료들의 지원자에 대한 평판을 확인하고, 최종 채용을 확정 짓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입사 후의 모습은 함께 일했던 동료들이 더 잘 알고 있기 때문이죠.
추천 서비스: 스펙터
우리 기업이 지금까지 채용을 잘 하고 있었는지, 자기소개서 문항은 인재상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문항인지, 채용된 인재가 입사 후 성과를 잘 내고 있는지 등 우리 기업의 채용 성과를 파악해 보고 더 잘 채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면 채용 성과 진단을 받아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채용을 위해 어떤 솔루션이 필요한지 확인해 보세요.

100명, 200명 혹은 500명 규모의 기업에서도 채용 담당자는 1명뿐인 경우가 많습니다. 인사팀이 따로 있더라도, 노무나 급여 등 다들 다른 업무를 담당하고 결과적으로 채용은 혼자 진행하는 경우죠. 심지어 최근에 공채에서 수시채용으로 변경되는 트렌드에 따라, 채용 담당자는 1년 365일 채용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채용 업무로 바쁜 인사담당자를 도와줄 수 있는 채용 도우미 서비스 6가지를 소개 드리려고 합니다. 채용 진행 순서대로 각각의 서비스를 어떻게 쓸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1. 공고 올리기 & 인재 컨택하기
사람들이 우리 기업의 채용 소식을 알고 지원할 수 있도록 공고를 많이 올려야겠죠. 일반적으로 사람인과 잡코리아, 원티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취준생들도 공고를 보고 지원하기 위해 가장 많이 방문하는 사이트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이 세 사이트가 단순히 공고를 올리는 것 외에도 지원자를 추천해주기도 한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우리 기업의 공고를 보고 보유하고 있던 인재 pool에서 추천하기도 하는 것이죠. 공고를 올리고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지만, 보다 빠른 채용을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우리 기업에서 먼저 연락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추천 서비스: 사람인, 잡코리아, 원티드
2. 서류 평가
지원자의 서류가 들어오면 이후 다음 전형을 진행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서류 전형에서는 지원자가 제출한 서류를 기반으로 우리 기업에 적합한 인재인지, 채용하려는 직무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평가하는데요. 이때, 채용담당자가 임의로 서류를 보고 다음 전형으로 넘기는 경우도 있고, 실무자가 판단 후에 다음 전형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 케이스 모두 각각의 단점이 있기 때문에 채용 담당자분들의 고민이 많습니다. 채용 담당자가 보자니 직무 역량을 실무자 기준으로 판단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실무자에 평가를 요청하자니 안 그래도 실무로 바쁜 실무자는 평가가 미뤄져 결과적으로 채용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죠.
그래서 많은 기업이 채용 담당자도, 실무자도 부담 없이 빠르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AI 서류 평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1건이든 100건이든 1,000건이든 실시간으로 평가가 가능하면서, 우리 기업의 인재상과 채용하려는 직무의 역량으로 커스터마이징된 AI로 평가하기 때문에 속도와 정확도 모두를 충족하기 때문이죠.
추천 서비스: 프리즘
3. 인적성검사
최근 채용담당자들의 신뢰도가 높아진 전형 중 하나입니다. 기존 채용 전형에서 인적성검사를 진행하지 않던 담당자 들도 도입하는 추세죠. 아무래도 면접은 지원자의 거짓/과장을 면접관이 잘 분별하는 것이 중요하고, 면접관이 지원자의 역량을 파악하기 위한 좋은 질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잘 훈련된 면접관이 아니라면 면접 전형을 진행하더라도 인재를 놓치거나, 적절하지 않은 지원자가 합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적성검사는 이러한 지원자의 거짓/과장을 분별하기 위한 도구 중 하나인데요. 여러 문항을 통해 지원자의 내재된 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면접에서 추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이죠.
인적성검사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점 중 하나는 변별력이 있는 검사 인가입니다. 시중에 인적성검사 서비스가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지원자의 왜곡 반응을 탐지하는 메커니즘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서비스: 몬스터
4. 평판조회
어느 정도 채용이 결정된 뒤, 지원자와 함께 근무했던 동료들의 평판을 확인할 차례입니다. 그렇다고 채용담당자가 이전 직장의 지인들을 하나하나 수소문해서 전화하고 확인하기에는 시간적 소요가 너무 크죠.
그래서 평판조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스펙터를 통해 주변 동료들의 지원자에 대한 평판을 확인하고, 최종 채용을 확정 짓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입사 후의 모습은 함께 일했던 동료들이 더 잘 알고 있기 때문이죠.
추천 서비스: 스펙터
우리 기업이 지금까지 채용을 잘 하고 있었는지, 자기소개서 문항은 인재상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문항인지, 채용된 인재가 입사 후 성과를 잘 내고 있는지 등 우리 기업의 채용 성과를 파악해 보고 더 잘 채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면 채용 성과 진단을 받아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채용을 위해 어떤 솔루션이 필요한지 확인해 보세요.